뉴스 > 연재기획
[이재명의 세무테크] 내연녀에 지급한 위자료도 상속재산에 포함될까
증여, 자산 이전에 대한 대가 지급의 유무 확인해야
이재명 필진페이지 + 입력 2024-11-01 06:30:33
▲ 이재명 세무사.
청구인은 200597일 청구인의 부친 노모 씨의 사망으로 2006220일 상속재산가액 9500만 원, 채무 및 공제가액 6600만 원(이하 쟁점채무액)으로 해 상속세 4500만 원을 신고·납부했다.
 
처분청은 쟁점 채무액 중 2005714일 지급했다는 2500만 원에 대해서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증법)상 공제 가능한 채무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하고 이를 불공제해 2008711일 청구인에게 상속세 7675280원을 결정, 고지했다.
 
피상속인의 자녀는 부친의 사망으로 상속재산가액 20억 원, 채무 및 공제가액 6(이하 쟁점 채무액이라 한다)으로 해 상속세 2억 원가량을 신고·납부했다.
 
그런데 신고·납부하고 1년 뒤 세무서에서 쟁점 채무액 지급했다는 2500만 원에 대해는 상증법상 공제 가능한 채무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하고 이를 불공제해 다시 결정 고지했다. 그 채무는 피상속인(사망한 부친)17여 년 동안 간병하며 가정부로 일했던 황씨가 피상속인과 내연의 관계에까지 이르게 돼 피상속인이 사망을 앞두고 황씨에게 위자료 명목으로 지급했던 것이다.
 
청구인 주장
 
청구인은 상속세 신고 시 쟁점 채무액 중 2500만 원은 피상속인을 17여 년 동안 간병하며 가정부로서 일했던 황씨가 피상속인과 내연의 관계에까지 이르게 돼 피상속인이 사망을 앞두고 황씨에게 위자료 명목으로 지급했던 것이다. 아울러 신고된 상속재산가액 20억 원에는 부동산 양도대금이 포함된 것이며, 동 양도대금에서 황씨에게 2500만 원을 지급했다. 이러한 사실은 처분청의 조사 과정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처분청이 쟁점 채무액 중 황씨에게 지급한 위자료 명목의 공제액을 상증법상 공제 가능한 것이다고 주장했다.
 
처분청 의견
 
처분청은 황씨에게 지급했다고 주장하는 대금 2500만 원을 급여 및 퇴직금으로 보아 상속재산가액에서 공제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피상속인과 황씨의 관계는 확인된 바 없으며 병환 중에 혼인신청을 했고, 혼인신고서가 피상속인의 도장 상이로 반려된 것으로 보아 관계가 불분명하며 설령 내연의 관계를 인정하더라도 이에 대한 대가가 급여 및 퇴직금 명목이라는 것은 논리상 적절하지 않고 또한 위로금이라면 더욱이 채무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황씨가 2500만 원을 수령했다는 확인서는 2005714일 작성된 것으로 상속개시일(200597) 이전이므로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공제할 수 있는 채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심사청구 결론
 
처분청은 피상속인이 황씨에게 2500만 원 증여됐다고 해 증여세를 결정했으나 이는 내연 관계에 있는 자에게 위자료 명목으로 지급한 것이라며 결정을 취소한 사실이 국세통합전산망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황씨에게 지급된 2500만 원은 상증법상 상속재산가액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위자료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동 금액만큼 상속재산가액에서도 차감해 상속세 과세표준을 경정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고 결정했다.
 
필자의 설명
 
우리나라 상속세는 상속 시점의 재산뿐만 아니라, 상속개시일 전 10년 이내의 증여한 자산까지 합산된다(사전증여 재산). 위의 사례에서 처분청은 황씨에게 지급한 위자료도 사전증여한 자산으로 보았기 때문에 상속재산에 포함하려 한 것이다.
 
세법에서는 직접 또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타인에게 무상으로 유형·무형의 재산 또는 이익을 이전하는 행위를 증여라고 한다. 즉 무상이 아닌 자산 이전에 대한 어떤 대가가 있는 경우는 증여가 아니다. 따라서 황씨가 받은 대금은 무상이 아니라 17년간 피상속인을 병 수발한 위자료 성격이기 때문에 조세심판원은 최종적으로 증여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후원하기
  • 정기 후원
  • 일반 후원
  • 무통장입금: 하나은행 158-910019-39504 스카이데일리
  • 스카이데일리는 온라인 판 스카이데일리닷컴과 32면 대판으로
    매일 발행되는 일간종합신문 스카이데일리(조간)를 통해 독자 여러분들과 만나고 있습니다. 후원자 분들께는 지면광고를 하고자 하실 경우
    특별 할인가격이 제공됩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오늘자 스카이데일리
주요 섹션 기사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541 세신빌딩 9층 | 전화 : 02-522-6595~6 | 팩스 : 02-522-6597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시 아01703, 등록일 : 2011년 7월 18일, 발행·편집인: 민경두, 편집국장: 박용준
사업자 번호 : 214-88-81099 후원계좌 : 158-910019-39504(하나은행)
copyrightⓒ2011, All rights reserved. Contact : skyedaily@skyedaily.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선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