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간담회는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현수막 디자인·제작 실습은 물론 AI 기반 콘텐츠 제작 훈련과 옥외 광고사 자격증 취득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현장에서는 수급제한과 교육시간 부족 등 현실적 한계에 대한 의견도 다수 제기됐다.
박 의원은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50만 원의 훈련비가 오히려 진입장벽이 될 수 있다”며 “장애인의 자격증 취득 및 실질적 고용 연계를 위해 예산과 제도 개선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AI 기술을 활용해 현수막 디자인에 장애인의 창작물을 접목하는 방식에 대해 “단순 훈련을 넘어 노동의 가치를 담아낼 수 있는 경기도형 장애인 일자리 모델”이라며 “공공기관 우선구매 연계 조례를 검토하고 경기도청 전시회 및 28개 산하기관과의 협력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상현 의원은 “장애인의 자립은 복지의 종착지가 아니라 시작점”이라며 “기술과 복지가 만나는 혁신 모델을 통해 경기도민 모두가 존엄한 삶을 누리는 포용사회로 나아가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