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E fact > 유통·물류·광고
매출액·수익성 줄어든 편의점… 즉석식품이 성장키
CU 영업이익 전년比 4.5%↓… GS25는 10.8%↓
CU·GS25 가맹점포당 매출 둔화… 매장 수는 증가
PB즉석식품으로 매출 견인… 고물가 초가성비 인기
김나윤 기자 기자페이지 + 입력 2025-03-26 11:00:00
 
▲ CU의 작년 영업이익은 2304억 원으로 전년보다 4.5% 줄었다. BGF리테일
 
편의점업계가 매장 수를 늘렸지만 영업이익과 매장별 매출 성장세가 감소했다. 편의점업계는 초가성비 자체브랜드(PB) 즉석식품으로 수익 개선에 나선다는 포석이다.
 
26일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시스템과 업계에 따르면 CU의 작년 영업이익은 2304억 원으로 전년보다 4.5% 줄었다. GS25도 같은 기간 1946억 원으로 10.8% 감소했다.
 
점포당 매출 성장도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CU의 가맹점포당 매출은 202058399만 원·202159400만 원·202262179만 원·202362796만 원을 기록했다. 매년 1000만 원 이상 증가하던 가맹점포당 매출이 2023617만 원 늘며 증가율이 둔화했다.
 
면적당 기준으로 매출액을 산정하면 더 줄어들고 있다. CU20233.3당 평균 매출액은 2799만 원인데, 이는 전년 2946만 원보다 146만 원 감소한 수치다.
 
GS25도 마찬가지다. GS252023년 가맹점포당 매출은 64145만 원으로 전년보다 172만 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22년 증가 폭(1919만 원)에 비해 크게 둔화했다. 3.3당 평균매출액도 20232209만 원으로 전년(2555만 원)보다 346만 원 감소했다.
 
반면 CUGS25의 매장 수는 늘었다. CU는 작년 말 기준 매장 수가 18458개로 전년(17578)보다 882개가 늘었다. GS25도 같은 기간 18112개로 전년(17272)보다 840개 증가했다.
 
점포 수의 확장에도 점포당 매출과 영업이익 등이 줄어든 배경에는 시장 포화와 과열 경쟁이 지목된다. 편의점업계는 초가성비 PB 즉석식품으로 점포당 매출과 영업이익 개선에 나섰다.
 
CU990원 핫바·1900원 맥주·2500원 닭꼬치 등 초저가 PB상품들을 잇따라 선보였다. CU가 즉석식품에 힘을 주는 이유는 편의점 PB제품들이 가성비 제품으로 인기를 끌면서 매출을 견인하기 때문이다.
 
실제 CU2021년 편의점 업계 최초로 선보인 PB브랜드 득템시리즈헤이루가 매출을 견인했다. PB제품 매출은 전년 대비 202216.0%에서 202421.8%까지 늘었다. 매출 비중 또한 증가 추세다. 전체 매출 중 PB제품 매출 비중은 202226.2%에서 202428.0%까지 늘었다.
 
CU2021년 편의점 업계 최초로 선보인 초저가 PB ‘득템 시리즈는 현재 누적 판매량 6000만 개를 돌파했다. 라면·계란·티슈·즉석밥 등 각종 카테고리에서 상품을 선보이며 대형마트와 온라인 쇼핑몰보다 최대 절반가량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돼 인기다.
 
GS25는 초가성비 PB로 기획한 ‘1400페트커피’ ‘천냥숙주나물등을 선보였다. 이 상품들은 판매가를 동일 상품군 내 최저가로 우선 설정하고 품질·맛 경쟁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개발이 이뤄진 신상 PB상품이다.
 
GS25도 전체 매출 중 PB제품 매출 비중이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PB제품 매출 비중은 작년 29%를 넘어섰다. PB브랜드 리얼프라이스GS25 론칭 1년여 만에 매출 500억 원 규모의 브랜드로 성장했다. 리얼프라이스 운영 상품 수는 50여종에 달한다. 특히 유어스는 국민배우 김혜자의 혜자로운 도시락이 인기를 끌었고 최근에는 올림픽 국가대표 신유빈 시리즈·넷플릭스 흑백요리사와 협업제품·편수저 시리즈 등이 인기를 끌었다.
 
업계 관계자는 편의점 입장에서는 충성 고객을 확보할 수 있고 박리다매를 통해 매출을 높일 수 있다특히 초저가 상품을 통해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전달은 물론 실질적으로 동반구매까지 노릴 수 있기때문에 PB브랜드는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 정기 후원
  • 일반 후원
  • 무통장입금: 하나은행 158-910019-39504 스카이데일리
  • 시대의 금기를 깨는 정론지 스카이데일리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만들어집니다.

    매월 5만 원 이상 정기 후원 독자께는
    스카이데일리 신문과
    스카이데일리가 발행하는 단행본을
    드립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오늘자 스카이데일리
주요 섹션 기사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541 세신빌딩 9층 | 전화 : 02-522-6595~6 | 팩스 : 02-522-6597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시 아01703, 등록일 : 2011년 7월 18일, 발행·편집인: 민경두, 편집국장: 박용준
사업자 번호 : 214-88-81099 후원계좌 : 158-910019-39504(하나은행)
copyrightⓒ2011, All rights reserved. Contact : skyedaily@skyedaily.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선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