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44839_teuhecih.jpg)
지역만의 독특한 정취와 이야기가 담겨 있는 향토 음식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여행의 백미로 꼽힌다. 특히 우리나라 오일장은 해당 지역의 토속 음식을 맛볼 수 있어 여행 마니아들은 빼놓지 않고 찾고 있다.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2월 추천 가볼 만한 곳의 테마도 ‘전국 오일장 먹거리’다. 지역에서 나는 싱싱한 재료와 음식 장인의 손맛이 어우러진 정겨운 한 그릇에는 우리 전통의 가치와 현지인의 푸근한 정이 듬뿍 담겨 있다.
도심 속 진귀한 장터 ‘모란민속5일장’ 4·9일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43436_mubkroqg.jpg)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43723_bdgpfqic.jpg)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50812_nnopqkyx.jpg)
매월 끝자리가 4·9일인 날에 열리는 성남시 모란민속5일장은 조선 시대부터 규모가 큰 것으로 손꼽힌다. 오일장의 대명사라 불릴 만큼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는 이곳은 찬바람 불고 한기가 옷 속을 파고드는 겨울이면 진가가 제대로 드러난다.
평일 주차장으로 이용되던 공터는 장날을 맞아 천막 지붕이 생기고 좌판이 들어서는 모란장으로 변신한다. 온갖 진기한 상품과 함께 꽈배기·호떡·뻥튀기·팥죽·칼국수·수구레국밥 등 입맛 돋울 먹거리가 ‘천지삐까리’로 깔린다.
이곳에는 길을 몰라도 고소한 냄새를 따라가면 만나게 되는 백년기름특화거리가 있다. 40년 역사의 기름집만 40군데가 넘는다. 춘천·천안·화성·여주·강진기름집 등 간판만 봐도 전국 팔도 기름집이 다 모인 것을 알 수 있다.
모란종합시장 상가건물 1층에 위치한 ‘로스팅랩’에서는 ‘고소함을 걸어요’라는 주제로 기름 압착 시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원래 본격적인 체험은 3월부터 가동되지만 단체 방문 시 날짜를 조율할 수 있다.
단돈 1000원으로 도심 속 겨울 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성남종합운동장 야외썰매장도 지척이며 현대식 건물로 편의성을 더한 성남중앙공설시장도 함께 둘러볼 만하다. 성남시에서 제3호 특화거리로 지정한 백현카페문화거리에서는 겨울을 녹여 줄 달달한 디저트와 향긋한 커피가 방문객을 기다리고 있다.
도심 한가운데서 열리는 모란장은 아이들에게는 산 교육장이자 어른들에게는 향수를 달래는 든든한 고향 같은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영동지역 대표 음식 ‘북평민속시장 소머리국밥’ 3·8일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43937_uzwyfihf.jpg)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44229_apacbtvl.jpg)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50624_wredzcgq.jpg)
강원 동해시 구미동에서는 끝자리가 3·8일이면 북평민속시장이 선다. 북평장은 1796년 시작된 유서 깊은 장터로 현 문화광장은 강원도에서 유명한 쇠전(우시장)이 열렸던 장소다. 우시장은 2008년 삼척시 미로면에 새롭게 개장하면서 사라졌지만 그 흔적은 국밥 거리로 남았다.
꼭두새벽부터 소를 거래하기 위해 찾아온 사람들은 막걸리 한 사발과 국밥 한 그릇으로 배부터 든든하게 채웠다. 소 상인이 아니어도 영동지역 사람들에게 북평민속시장의 국밥집은 마음의 고향 같은 곳이다.
북평장에서 가장 유명한 메뉴는 소머리국밥이다. 가까이에 쇠전과 도살장이 있어 고기를 팔고 남은 소머리나 내장 같은 부위를 이용해 국밥을 끓이는 것이 국밥 거리의 기원이다.
저마다의 비법이 담긴 레시피를 가지고 요리하기에 식당마다 국밥의 맛이 다 다르다. 뽀얀 국물을 내는 식당이 있는가 하면 말갛게 끓이거나 시뻘건 국물을 내는 식당도 있다.
묵호 등대 앞 도째비골 스카이밸리는 59m 높이로 세워진 스카이워크다. 동해와 묵호 등대· 묵호항의 풍경을 감상하기에 제격이며 자이언트 슬라이드와 스카이 사이클을 타고 스릴을 즐질 수도 있다.
전천 뜬다리정원마루는 길이 265m의 전천 폐철교를 활용한 공간으로 해 진 뒤에 경관조명이 일품이다. 추암 촛대바위와 조각공원 일원 역시 테마에 맞게 조명으로 꾸민 풍경을 감상하며 여유롭게 야간 산책을 즐기기 좋은 곳으로 최근 여명빛테마파크라는 이름이 붙었다.
단양 마늘 맛보고 가유! ‘단양구경시장 마늘 요리 열전’ 상설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44448_hmmmqaue.jpg)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44607_ncgyvnoi.jpg)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50347_spmkxmtc.jpg)
충북 단양군의 단양팔경은 전국구 여행지다. 단양팔경에 1경을 더한 게 단양구경시장이다. 시장 구경이라는 의미도 있다. 이곳은 약 120개 점포가 모인 상설재래시장으로 단양전통시장이 전신이다. 요즘에는 ‘먹방 여행’을 선호하는 젊은 여행객으로 하루 종일 북적댄다.
단양구경시장의 인기를 주도하는 건 넷플릭스 ‘흑백요리사’의 최현석 셰프가 봉골레 파스타에서 빼먹고 요리했다던 바로 그 마늘이다. 단단한 알과 진한 향이 특징인 단양 육쪽마늘은 석회 지역의 약산성 토양과 산지마을의 큰 일교차가 만들어 낸 명품 마늘이다.
흑마늘닭강정을 필두로 마늘빵·마늘순대·마늘만두·마늘갈비·흑마늘아이스크림 등 점포 간판마다 ‘마늘’이 접두어처럼 따라붙는다. 큼지막하게 썰어내는 시식용 먹을거리 역시 시장의 인심을 보여준다. 위는 하나인데 그 위가 점점 불러오는 게 아쉬울 따름이다. 주말이면 손님을 길게 줄 세우는 맛집이 여럿이지만 몇몇 점포는 주말에만 문을 연다.
만천하스카이워크는 만천학봉 위에 세운 높이 25m의 전망대로 소백산 설경과 단양 시가지를 조망할 수 있다. 남한강 암벽에 잇댄 1.12km의 단양강 잔도는 강의 얼음 우는 소리를 들을 수 있어 한겨울 더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최근 문을 연 미디어아트 체험장 팝스월드까지 마늘처럼 알싸한 여행의 즐거움을 더하는 단양이다.
추워서 더 맛있는 ‘창녕전통시장의 칼칼한 수구레국밥’ 3·8일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45049_xaptaovn.jpg)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45315_bvymuiqd.jpg)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전통시장은 1900년대 보부상들이 집결하던 큰 시장으로 끝자리가 3·8일에 열린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장을 모아 지금 자리에 개설한 것이 1926년이라 하니 백년시장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창녕장은 장이 서는 날이면 새벽부터 큰 시장 가득 사람들이 바다를 이룬다. ‘시골장이 커봐야 얼마나 크겠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북적대는 사람들 사이로 이것저것 구경하다 보면 걸어도 걸어도 끝이 보이지 않는다.
창녕전통시장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수구레국밥이다. KBS TV ‘1박2일’에서 이수근이 수구레국밥 먹는 장면이 방송을 타면서 창녕 명물로 떠 올랐다. 수구레는 소 한 마리에 2kg 정도만 나오는 특수 부위다.
장날이면 가게마다 뜨거운 김이 펄펄 나는 커다란 가마솥이 걸리고 뻘건 국물에 콩나물·선지·파 그리고 수구레가 가득 담겨 나온다. 여기에 전국적인 산지로 꼽히는 마늘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재배했다는 양파를 이용한 반찬이 식탁을 장식한다.
쫀득쫀득한 수구레는 씹으면 씹을수록 고소한 맛이 우러나는 게 특징이다. 국밥 줄어드는 게 아깝지만 숟가락 놓을 때쯤이면 추위에 꽁꽁 얼었던 몸이 싹 녹는다. 창녕 사람들은 국밥에 국수사리를 넣어 먹는 걸 즐긴다.
생활의 달인에 출연한 달인 꽈배기며 줄이 길게 늘어선 찹쌀호떡은 배가 불러도 포기할 수 없는 시골장의 주전부리다.
창녕은 조선 시대에 현감을 두었던 큰 고을이었다. 특히 창녕전통시장 주변에 창녕향교·석빙고·신라 진흥왕 척경비·술정리 동 삼층석탑 등 역사 유적이 몰려 있어서 문화유적답사를 겸해도 좋다.
그밖에 △홍예다리(무지개다리)로 유명한 영산면 창녕 영산 만년교 △우포늪의 곤충을 직접 만져보고 관찰할 수 있는 창녕생태곤충원 △국민동요 산토끼를 주제로 한 산토끼노래동산을 돌아볼 수 있다. 부곡온천에서 국내 최고 수온인 78℃ 온천수에 몸을 담그는 일은 겨울 최고의 호사다.
몸과 마음을 녹이는 달콤한 맛 ‘말바우시장 팥죽’ 상설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45512_plmmueup.jpg)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45628_wdqaacfm.jpg)
![](https://pds.skyedaily.com/news_data2025/20250123151249_ydwhghxw.jpg)
광주광역시 북구 우산동에 자리한 말바우시장은 500여 개 점포가 들어서 있어 호남에서도 큰 규모를 자랑한다. 사람들이 이곳에서 첫손에 꼽는 메뉴가 배도 부르고 몸에도 좋은 팥죽이다.
말바우시장에서 팥을 전문으로 다루는 가게들은 모두 팥죽과 동지죽을 대표 메뉴로 내세운다. 팥죽에는 쫄깃한 면발의 칼국수가 들어 있고 동지죽에는 몰캉몰캉한 새알심이 들어 있다.
팥죽 가게들은 매일 새벽 일찍 직접 팥을 씻어 불리고 삶는다. 팥죽에 들어갈 새알심은 물론 칼국수면도 직접 반죽하며 밑반찬 김치에도 신경을 많이 쓴다. 한 끼에 5000원이면 대접 한가득 푸짐한 팥죽을 맛볼 수 있다니 요즘 세상에 흔하지 않은 인심이다.
호남지역의 첫 박물관이자 광복 이후 대한민국이 지은 최초의 지역 국립박물관인 국립광주박물관에서는 선사시대의 유물에서부터 고려와 조선 시대의 청자와 백자 및 아시아의 도자기까지 상시 관람할 수 있다.
광주시립미술관은 국내 최초의 공립미술관으로서 지역 문화예술의 활기를 담은 유수의 작품을 전시한다.
후원하기